1) 소비자의 특성이나 규모 및 니즈분석
- 단기적으로는, 음식점과 음식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현대인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측면에서 소비자 규모가 상당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중기적으로는, 확보된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개개인의 선호 메뉴나 레스토랑에 대한 추천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서비스의 고객 맞춤형 기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음식 서비스에 한정된 규모가 아니라,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전반에 관한 서비스로 확장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더욱 정밀하게 파악하고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입니다.
2) 현재 시장성과 향후 3년간 시장 추세, 예상 경쟁업체
- 현재 음식 배달 앱은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편리성와 다양한 할인 및 이벤트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음 3년 동안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상 경쟁업체로는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이며, 이들의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와 합리적인 가격 혜택, 빠른 배송 등이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3)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차별화 기능이나 전략
- 개인화된 메뉴 추천 기능: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개인화된 추천으로 사용자 만족도 높임
- 통합 마케팅: 각종 쿠폰, 이벤트, 할인정보를 한번에 모아서 확인가능
- 지역화 전략: 사용자 위치에 따른 근접 식당 및 메뉴 정보 제공
4) 출시플랫폼 우선순위
- 모바일 앱을 우선으로 하고, 이후 모바일 웹, PC 웹 순으로 확장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입니다. 이유는 현재 소비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정보를 얻고,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아진 만큼, 이러한 사용자 트렌드에 맞춰서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5) 초기 시장 진입전략
- 협업 전략: 이미 시장에 입성해있는 음식점들과의 협업을 통한 서비스 홍보
- 사용자 경험 위주의 플랫폼 제공: 편리하고 직관적인 앱 디자인으로 사용자흡수
- 할인, 이벤트 캠페인: 신규 가입자 및 재방문 유도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 및 할인쿠폰 제공
6)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
- 다양한 음식점 및 메뉴 확장: 사용자들의 선택 폭을 넓혀 지속적인 이용 독려
- 사용자 피드백 수집과 반영: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아이디어 수집 및 적극적 반영
- 유사 서비스와의 연계: 호텔, 여행사, 영화관 등 다른 서비스와의 제휴, 연계로 사용자 편의성 제고